top of page

Producing Lesson

※ 원격 레슨 가능합니다!

원격 레슨은 줌미팅으로 이루어 집니다. 소통할 마이크, 헤드폰만 있으면 가능합니다.

 

​장소는 신대방역 도보 15분 거리 작업실입니다.
 

큐베이스 12로 진행됩니다.

 

레슨 상담은 010-4407-3798로 전화 말고 문자 먼저 부탁 드립니다!

오픈카톡방으로 연락 주셔도 됩니다 ^^

오픈카톡 - https://open.kakao.com/o/s5gqur7b

레슨 시간 및 레슨비는 문의 부탁 드려요~ 😀

합격자 리스트(계속 업데이트 됩니다)

판교 스*****

서류, 포트폴리오 5명 합격

1명 최종합격 

구로 넷**

서류, 포트폴리오 3명 합격

1명 최종합

강남 더*****

1명 최종합격

판교 슈**

1명 최종합격

강남 라****

1명 최종합격

강남 넥****

서류, 포트폴리오 3명 합격

1명 최종합격

판교 라********

서류, 포트폴리오 1명 합격

판교 엔****

​서류, 포트폴리오 2명 합격

판교 쿡**

​서류, 포트폴리오 1명 합격

잠실 스*******

​서류, 포트폴리오 1명 합격

판교 네***

서류, 포트폴리오 4명 합격

​판교 웹*

​서류, 포트폴리오 1명 합격

오리엔테이션 (초급~중급 공통)

1주차 : 제 프로젝트를 직접 열어서, 템플릿과 시퀀싱을 어떻게 진행했는지 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2주차 : 작업에 필요한 큐베이스 기능, 숙련자분들은 꿀팁등을 말씀드립니다(알고 계신 부분은 스킵합니다)

2

음악적인 소통을 위한 기초 지식 (중급자 및 전공자는 패스하는 편입니다)

음정/기초 3화음/다이어토닉/화성 기능/텐션/선법/병진행 반진행 등의 음악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기초 지식들을 배웁니다(재즈 기반으로).

다만 해당 지식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나간 뒤 실 작업에 들어가는 게 아니고, 실 작업을 하면서 중간 중간 말씀 드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3

4성부 트레이닝 (웬만하면 2주 정도만 - 초보자는 꽤 오래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든 성부 멜로디를 화성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연습입니다.

병진행과 반진행, 상승과 하강, 성부간의 간격, Drop 보이싱, 중복과 생략 등

네 개의 성부만으로 좋은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것의 대한 루틴입니다.

루틴 방법은 2주 정도로 다 알려 드리고, 자발적으로 연습하시길 권장합니다.
 

4

오케스트라 작/편곡, 시퀀싱 (레슨 진행하는 동안 계속)

현/목관/금관/퍼커션 각각 악기군의 음향적 특성, 음역대, 주법 등을 파악하고 시퀀싱하는 기본 스킬을 배웁니다.

레퍼런스 곡(각종 필드, 난이도 별 전투)을 정해 해당 곡의 특징(모드, 악기 구성, 템포 등)을 파악하고, 비슷하게 만들어보고, 

수정하고 고치는 루틴을 반복합니다.

이렇게 루틴을 반복하면서 음악적인 변화(4마디 형식에서 1/3 2/4 법칙, 길고 짧음의 대비, 높고 낮음의 대비, 조합으로 인한 텍스쳐 표현, 런, 푸가 형식 적용 등)

를 말씀 드립니다.

5

신디사이저 (xfer의 Serum - 필요할 때 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튜토리얼도 많고 널리 쓰이는 신디사이저이고, 

세럼만 어느 정도 독파하면 다른 제품의 신디사이저도 기능만 어디 있는지 파악하면 쉽게 쓸 수 있기 때문에 세럼으로 진행합니다.

소리를 담당하는 파트(OSC, FIlter, Effects)

비연속적 변조와 연속적 변조(Env, LFO)

변조 방식(Sync, RM, FM, Wavetable, Misc Filter등)에 대해 배우고 곡에 적용하는 연습을 합니다.

6

락/메탈 (필요할 때 마다)

먼저 일렉기타의 구조(험버커, 싱글픽업의 차이, 쉐입의 차이 등)과 스톰박스, 앰프와 캐비넷 마이킹 등의 시그널 플로우에 대한 지식을 익힙니다.

그리고 기타/베이스 기타의 주법(트레몰로, 피치벤드, 레이크 피킹, 와미, 왼손 뮤트/오른손 뮤트, 핑거링, 슬랩 등)을 배운 후에

솔로 메이킹(피치벤드 레이크, 뮤트 러닝 테크닉 등), 모던 메탈 리프 메이킹(페리페리, 모뉴먼츠, 믹 고든, 애런 마샬 등)

드럼 시퀀싱(고스트 스네어, 롤, 하이햇 클로징, 스플래쉬 활용 등), 드럼 믹싱(컴프레서, 새츄레이터, 트랜지언트 쉐이퍼, 믹스 버스 프로세스 등)

등의 루틴을 진행합니다.
 

7

일렉트로니카 (리듬게임인 경우가 많습니다)

세럼 기초를 나가신 분들만 진행하게 됩니다.

세럼 심화과정(사운드 카피, 프리셋 개조), 팝 베이스 시퀀싱(1/5도만으로 쪼개기, 약박 3/7도, 피치벤드 2/6도 등)

써드파티 이펙트 활용(그래뉼러, 페이즈 오토메이션, 딜레이 싱크 등의 사운드디자인 적인 방식과 EQ, 컴프레서, 리버브 같은 믹스적인 방식)

샘플링(루프 편집 방법, 샘플러 트랙 활용, 페이드 등)

EDM 제작 형식(인트로, 빌드업, 드랍, 브레이크 등)의 루틴을 진행합니다.

8

믹싱/마스터링

사실 편곡 과정에서 이미 이펙트에 대한 지식은(사운드 디자인적으로) 많이 말씀드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곡 마무리 과정의 믹스는 렌더 후 볼륨 오토메이션, 페이드 처리, EQ, 새츄레이터, 멀티밴드 컴프레싱 정도가 가장 많고,

마스터링은 M/S 프로세싱, THD 첨가, 컴프레서 및 리미터 활용 정도 입니다.

웬만하면 시간을 잡고 수업을 나가기 보다는 곡 작업 중간에 말씀 드리는 편입니다.

bottom of page